가까이 보아야 예쁘다 자주 보아야 사랑스럽다. 자주 보아야 사랑스럽다? 자주 보면 매몰된다. 함몰된다. 글자가 글자로 보이지 않는다. 그림으로 보인다. 즉, 삭혀야 한다. 왜 글쓰기 책에서 전부 원고 완성 후 일정 기간 삭히라고 할까? 그건, 당사자의 시각에서 벗어나 제3자의 시각을 가지기 위한 시간이다. 쓰는 눈에서 고치는 눈으로 바꾸어야 할 시간이다. 일필휘지라는 환상도 결국 숙성을 전제로 한다. 생각의 덩어리가 만들어지고 그것을 쓰고자 하지만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뭔가 2% 부족하다. 플러스 알파 즉, X가 필요하다. 강원국도 를 청와대 그만두고 5년을 숙성한 것이 주효했다고 강연에서 밝힌 바 있다. 바로 두자마자 썼더라면 그렇게 쓰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