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L이란 과연 무엇일까?
왜 사람들은 NPL을 외치는 것일까?
연체가 3개월이 되면 부실채권이 된다.
즉, Non Performing 진행이 안된다는 의미다.
어려운 말로는 '무수익 상태'가 된다.
NPL은 결국 Non Performing Asset 무수익 자산을 NPL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무수익 자산은 다른 말로 무수익 여신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여신이란 말이 어려울 수 있는데, '금융기관에서 고객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을 여신이라고 한다.
즉, 돈을 빌려주었지만, 수익을 얻을 수 없는 상태,
'부실채권'을 NPL이라고 하는 것이다.
NPL은
1. 부실채권
2. 고정이하 여신
3. 무우식 여신
4. 근저당권부 채권
이라고도 한다.
다 같은 말이다.
'NPL연구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강) 경매와 NPL의 차이 (0) | 2020.12.18 |
---|---|
(제5강) NPL의 수익율은 얼마나 될까? (0) | 2020.12.18 |
(제4강) NPL은 어디에서 사야 하나? (0) | 2020.12.18 |
(제3강) 은행은 왜 그 좋은 NPL을 파는 걸까? (0) | 2020.12.18 |
(제2강) NPL로 돈을 버는 방법 (0) | 2020.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