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실마리
상관의 리더십은 인정과 격려, 칭찬이다
김욱작가
2020. 4. 2. 11:12
이런 경우를 상상해보자.
1) 사고가 터지기 전 미연에 방지하여 사고가 안 나게끔 한다
2) 사고가 터진 후 그걸 완벽하게 대응해 막아낸다.
둘 중 누가 더 인정을 받을까?
2) 번이다.
터진 사고를 잘 갈무리하면 인정받는다.
하지만 사고를 사전에 예방한 사람은 인정받지 못한다. 아무 일도 없었으므로 조용히 넘어간다.
따라서, 인정욕구가 있으면 사고를 터뜨린 후 그걸 막아내면 된다.
사고가 예측이 되고, 터질 지 알고 있어서, 대응책도 이미 머리속에 있다.
'정의론'의 입장에서 보면 사고를 터뜨리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은데,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질까?
사람은 일이 많아서 힘들어하기 보다는
많은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누가 인정해주지 않으니 힘들어한다.
그래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제적 대응을 하는 직원을 적확하게 찾아내 그 사람을 칭찬해줘야 한다. 인정해 주어야 한다.
그러면 계속, 꾸준히 선제적 대응을 한다.
따라서 칭찬이 중요하다.
칭찬을 하고 믿음과 신뢰를 주면
퇴근도 안 하고, 주말에도 나오고, 마치 국가와 민족의 운명을 책임진 것처럼 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