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실마리

첫 문장을 시작하는 방법

김욱작가 2020. 3. 16. 17:13

글을 시작할 때 가장 힘든 부분이 첫문장을 어떻게 시작하냐이다. 첫 문장만 잘 시작하면 다음 문장은 대부분 줄줄 흘러나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첫 문장을 제대로 시작하지 못해서 글쓰기의 진도가 안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잘 쓰려고 하기 때문이다. 글에서 첫문장의 힘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잘 써야 한다. 첫 문장에서 독자를 사로잡아야 한다. 하지만 너무 많은 요소를 고려해 넣다 보면 자칫 첫문장을 시작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첫 문장은 편하게 써야 한다. 그것도 아주 부드럽게! 글을 다 쓰고 나서 첫문장을 임펙트 있는 문장으로 수정하면 된다. 따라서 처음 쓴 문장이 끝까지 계속 가리라 생각할 필요도 없다. 적당히 쓰고 나중에 고치면 그만이다. 재미있는 사실은 첫 문장을 고민해서 쓴 것보다 편하게 적는 게 나중에 보면 훨씬 더 좋은 문장이 많다는 거다.


작가들도 이구동성으로 첫 문장이 힘들다고 한다. 특히 문학은 단행본에 비해 첫문장의 위력이 절대적이다. 특히 시는 말할 것도 없다. 따라서 첫 문장에 많은 공을 들인다. 내가 아는 한 분은 첫 문장 쓰기가 한 시간씩 걸린다고 한다. 고민고민해서 일단 첫 문장을 시작하면 그 다음부터는 일사천리로 진행된다고 첫문장쓰기의 어려움을 토로한 바 있다. 첫 아이를 낳는 신비와 고통, 그리고 기쁨을 만끽하면 다음 문장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그래서 어렵고 중요하고 소중한 게 첫 문장이다.

나는 첫문장의 중요성을 진즉에 인식하고 원고를 완성하면 첫문장을 다시 검토한다. 책쓰기를 했다면 각 꼭지별로 첫문장을 모두 검토한다. 고쳐야겠다고 생각하는 문장은 모조리 고친다. 그래야 제대로 된 문장이 나온다. 이런 작업을 하다보니 첫문장에 대해 그 전보다 훨씬 더 고민하게 됐다. 그리고 첫 문장이 몇가지의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음을 알았다. 사실 첫문장 쓰기야 쓰는 사람 마음이지만 대개 정해진 틀이 있다. 그걸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다.

첫째는 사건 서술이다. 일정한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시작한다. 일종의 스토리텔링 전면 배치다. 이야기를 해 놓고 그 다음에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한다. 독자는 스토리텔링을 좋아하므로 사건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시작 방식이다. 가령, ‘작년 연말에 우연한 기회로 카페 회원들을 만날 기회를 가졌다.’로 시작하면서 카페 회원과의 만남에 대해 이야기하며 화제를 시작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그야말로 무난하고 안전빵이다. 나는 주로 내 경험담을 이 방식을 통해 많이 활용한다. 가령 나는 ~~를 해본 적이 있다로 시작하며 그 이야기를 적는다.

둘째는 답변형이다. 꼭지를 질문형으로 만든 다음 답변을 적으며 시작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두괄식 글을 논리적으로 전개하는 방식이다. 그 논거를 첫째, 둘째, 셋째로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좋다. 역시 내가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가령 언제 써야 할까?’라고 꼭지 제목을 정한 후 시작은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독자 마음이다라던가, ‘난 아무래도 새벽을 추천하고 싶다로 쓴다. 그리고 그 이유를 설명한다. 이 방식은 그 이유를 하나씩 들면서 쓸 수 있어서 분량 채우기에 아주 제격이다.


셋째는 명언이나 유명 문구를 활용한다. 이 방식은 내가 초창기 때 쓴 방식으로 역시 독자의 관심을 끌기에도 좋으며 무난한 시작방식이다. 주제와 관련한 명언을 툭 던져넣고 주제와 연관을 시켜 이야기하면 된다. , 유의할 것이 있다. 명언이 너무 유명한 것이면 식상하다. 그래도 조금 덜 알려진 문구나 명언을 활용하는 게 좋다. 가령 일일부독서면 구중생형극이라는 말처럼 우리는 매일 독서를 해야 한다라던가 생즉필사 사즉필생의 정신으로 죽기를 각오한다면 누가 패하겠는가’, ‘건강하려면 의사보다 요리사를 찾으라는 말이 있다등의 방식으로 시작한다.


넷째는 용어 설명이다. 해당 꼭지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주제의 용어를 설명하면서 시작한다. 이 방법 역시 무난하고 깔끔하다. 하지만 재미가 없다. 딱딱하다. 그래서 나는 전문 서적이 아니면 가급적 하려 하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책을 쓸 때는 다양한 방식으로 첫 문장을 시작해야 하기에 이 방식도 몇 개는 동원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가령 원고를 써서 출판사에 투고하여 계약이 성사되면 작가가 선인세를 받고 출간하는 방식을 보통 기획출판이라 한다고 시작하는 방식이다.


다섯째는 단정형이다. 어떤 팩트에 대한 단정을 지으며 시작하는 방식이다. 가령 사람들은 누구나 처음 만나는 사람을 경계하기 마련이다라고 한다면 일정한 사실에 대해 단정을 짓고 그 뒤를 따라 이야기를 서술하는 방식이다.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다’, ‘단식을 하면 식사량이 줄어든다도 이러한 예다. 가장 무난한 방식이며 나 역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이 방식 역시 자주 쓰면 밋밋해질 수 있어서 적당히 사용해야 한다. 밋밋하다는 말은 반대로 무난하다는 말도 되므로 용도에 맞게 잘 활용하면 무난한 글은 된다.


여섯째는 의문형이다. 질문을 하면서 글을 시작한다. 가령 우리는 왜 책을 써야 할까?’ 라던가, ‘사람은 가난을 감추고 싶을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형태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을 하면서 문장을 부드럽게 진행하면 된다. 난 글쓰기 초창기에 이 방식을 많이 활용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잘 활용하지 않는다. 다소 진부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도 순전히 내 개인적 생각이다. 유명 작가 중에도 자주 활용하는 분이 많다.

본래 동트기 전이 가장 어두운 법이다. 글도 마찬가지다. 첫 문장을 쓰기 전이 가장 힘들다. 하지만 무엇이라도 일단 쓰면 두려움이 수그러든다. 설레임으로 바뀐다. 그리고 쓸 수 있다. 글쓰기를 시작하는 방법은 위에 적시한 외에도 다양하다. 다양한 책을 읽으며 시작을 어떻게 하는 지 연구하는 자세도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건 첫 문장으로 독자를 유혹해야 한다는 거고, 그러기 위해서는 예측이 되지 않는 의외성도 때로는 필요하다. 자세한 첫문장 시작법은 누가 가르쳐줄 수 없다. 본인이 스스로 터득하는 게 가장 빠르고 적확하고 아름다운 길이다.


<책쓰기가 만만해지는 과학자 책쓰기>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