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적끄적
<기술은 어떻게 사업화 되는가>, 독서통신 정답 공개
김욱작가
2020. 3. 4. 10:42
(진위형) 옳은 것에 공표, 틀리면 가위표 (배점 각각 10점)
1. 특허는 ‘기술의 공개’를 전제로 하며, 기술의 공개는 ‘청구항’을 작성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맞음
2. 특허는 속지주의적 성향을 갖는다.
맞음
3. 기술이전계약이 체결되면 계약서 조항에 따라 기술료를 청구해야 하는데, 기술료는 부가가치세가 없다.
틀림
4. 기술거래의 필수 3요소는 기술이전의 대상물, 당사자, 실시행위이다.
맞음
(단답형)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5. 기술가치에 대한 평가방법은 크게는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비용산출법, 이익접근법, 그리고 ‘이것’이다. 나머지 하나인 ‘이것’은 무엇인지 답하시오.(20점)
시장접근법
6. 기술의 실시는 크게 ‘전용실시’와 ‘이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이전 기업에 기술을 제공하고 나서 타기업에 추가로 기술이전이 가능한 형태이다.
위에서 공통으로 가르키는 ‘이것’은 무엇인지 답하시오.(20점)
통상실시
7. ‘이것’은 대상기술에 대한 기술성, 시장성, 특허성 분석을 통해 기술수요자를 유인할 수 있는 핵심 사항을 담은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대상 기술의 우수성을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수요기업의 관심을 이끄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무엇인지 답하시오.(20점)
기술소개자료 = 판매기술서 = SMK(Sales Material Kit)